Python
[개미의 걸음 Python 13차시] 리스트(append, insert, extend, len, del, pop, remove, clear, index, count)
IT개미 데이터
2020. 7. 13. 23:23
728x90
지금까지는 문자열, 숫자, 불 등 어떤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자료형에 대해 배웠습니다.
하지만 데이터를 다룰 때는 값이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가 존재하게 됩니다.
지금부터는 여러개의 값을 나타낼 수 있게 해주는 자료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.
list[리스트]
각 변수 사용 | 리스트 사용 |
a=10, b=20, c=30, d=40 | a=[10, 20, 30, 40] |
4개의 변수 사용 a, b, c, d |
a라는 하나의 변수만 사용 a[0], a[1], a[2], a[3] |
파이썬에서 여러가지 자료를 모아서 저장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자료형
- 자료가 많아질 경우,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!
- 리스트는 한 가지 이상의 자료형을 구성 가능
- 대괄호[ ] 내부에 넣는 자료를 요소[element]라고 함
[요소1, 요소2, 요소3, 요소4, 요소5,,,] - 대괄호[ ] 내부에 들어간 위치를 인덱스[index]라고 함
- 리스트[인덱스]=" "를 사용하면 지정한 인덱스의 값 변경 가능
- 리스트[인덱스1][인덱스2]를 사용하면 인덱스1에 해당하는 요소에서 인덱스2를 찾음
- 리스트 안에 리스트 사용 가능
# 리스트 중복 사용시 인덱스
리스트 연산자[+,*]
연결[+] | 리스트들을 연결한 리스트 형성 |
반복[*] | 리스트를 여러번 반복한 리스트 형성 |
- 리스트 자체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음[비파괴적]
리스트 길이 구하기
len(리스트명) |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|
리스트 내부에 특정 값 찾기
찾을 값 in 리스트명 | 리스트 내부에 해당 값이 있는지 확인 |
찾을 값 not in 리스트명 | 리스트 내부에 해당 값이 없는지 확인 |
리스트명.count(찾을 값) | 리스트 내에서 해당 값을 찾아서 그 위치[인덱스]를 출력 |
리스트명.index(찾을 값) | 리스트 내에서 해당 값의 개수를 출력 |
리스트 요소 추가하기
리스트명.append(요소) | 리스트의 마지막에 요소를 추가 |
리스트명.insert(위치, 요소) | 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요소를 추가 |
리스트명.extend(리스트) | 한 번에 여러 요소를 추가 |
※ 리스트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([ ]를 하지않고 변수를 지정하면 ), append함수를 사용할 수 없음
리스트에 요소 제거하기
키워드 사용 | del 리스트명[인덱스] |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있는 요소를 제거 |
함수 사용 | 리스트명.pop(인덱스) |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있는 요소를 제거 매개변수를 입력하지 않으면 마지막 요소를 제거 |
리스트명.remove(값) | 리스트 내부에 있는 값을 찾아서 제거 |
리스트 전체 제거
리스트.clear() | 리스트에 있는 요소들을 전부 제거하여 빈 리스트를 생성 |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