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개미의 걸음 1과목 컴퓨터 일반] 주변장치①. 보조기억장치

자격증/컴활 1급

by IT개미 데이터 2020. 6. 19. 11:11

본문

728x90

보조기억장치[Secondary Memory Unit]

<컴퓨터의 구성>

  •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저장된 정보가 소멸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
  • 컴퓨터 외부에서 프로그램,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
  • 주기억장치는 용량이 크지 않으므로 보조기억장치를 통해 대용량의 자료를 보관 가능
  • 주기억장치보다 속도는 느리나 대용량의 자료를 저장 가능
  •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주기억장치로 옮겨진 후 처리됨
  • 보조기억 장치에는 자기기억장치, 광저장장치 등이 있다.
자기기억장치의 예 하드디스크, 플로피디스크 등
광저장 장치의 예 CD-ROM, DVD, 블루레이 디스크[Blu-ray Disc]
기타 저장 장치의 예 플래시 메모리[USB 메모리, 메모리스틱, MMC, SD카드, CF카드 등]

 

  • 보조기억 장치는 처리방식에 따라 순차처리 기억장치와 직접 처리기 억장 치로 나뉜다.
순차접근 기억장치
[SASD, Sequential Access Storage Device]
자료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록하고 읽어올 수 있는 기억장치
     ex> 자기테이프
직접접근 기억장치
[DASD, Direct Access Storage Device]
자료를 저장위치에 상관없이 임의로 기록하고 읽어올 수 있는 기억장치
     ex> 자기디스크, 하드디스크, 광디스크

# 자기테이프[Magnetic Tape]

더보기

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테이프 형식의 외부기억장치[순차접근기억장치]

<자기테이프>
블럭화인수 : 하나의 Block을 이루기 위해 몇 개의 레코드가 모였는지 나타내는 것

# 자기디스크[Magnetic Disk]

더보기

여러 장의 디스크 원판을 압축해 장성체를 입힌 기록매체

순차접근[SASD]과 직접접근[DASD]모두 가능

트랙[Track] 정보가 저장되는 일정한 간격의 동심원
섹터[Sector] 트랙을 나눈 작은 조각
실린더[Cylinder] 디스크에서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트랙의 모임
클러스터[Cluster] 여러 개의 섹터를 묶어놓은 것으로 실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단위

탐색시간[Seek Time] + 검색시간[Search Time] + 전송시간[Transmission Time] = 접근시간[Access Time]

탐색시간 디스크에서 읽기/쓰기 헤드가 원하는 트랙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
헤드가 지정된 트랙에 도착하는 트랙 이동시간을 나타냄
검색시간 헤드가 원하는 자료가 위치한 섹터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
Latency time[회전대기시간]이라고도 함
전송시간 읽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보내는 시간
데이터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
접근시간 기억장치의 데이터에 접근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

 

# 광디스크[Optical Disc]

더보기

얇은 원판에 강한 레이저로 데이터를 기록하고, 약한 레이저의 반사율로 데이터를 읽어내는 방식의 기억매체

레코딩을 할 때 패킷 단위로 기록하는 패킷라이팅 기술을 이용

최대 1000번까지 쓰고 지우기를 반복할 수 있다.

패킷 단위로 레코딩하는 과정에서 쓸모없는 데이터 블록이 발생하므로 사용가능한 디스크 용량이 줄어듦

CD-ROM, CD-R, CD-R/W, DVD

 

보조기억장치의 종류

    ① 하드디스크[HDD, Hard Disk Drive]

 자성물질을 입힌 금속 원판을 여러 장 겹쳐서 만든 기억매체

 개인용 컴퓨터에 보조기억장치로 널리 사용됨

 저장용량이 크고,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르나 충격에 약해 본체 내부에 고정시켜 사용함

 하드디스크 사양은 용량[Capacity], 전송률[Transfer rate], 버퍼메모리[Buffer Memory] 등과 관련있다.

    ② SSD[Solid State Drive]

하드디스크 드라이브[HDD]와 비슷하게 동작하면서 HDD와는 달리 기계적 장치가 없는 반도체를 이용해 정보 저장

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음  →  고속으로 데이터를 입*출력할 수 있음

발열, 소음, 전력소모가 적으며 소형화, 경량화할 수 있음

외부충격에 강한 편이나 저장용량당 가격이 비쌈

    ③ CD-ROM[Compact Disc-ROM]

두께 1.2mm, 지름 12cm의 크기에 약 650MB의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

    → 하드디스크에 비해 용량이 작고 읽는 속도가 느리며 한 면에만 데이터만 저장

780nm 정도의 적외선 레이저를 사용함

제품을 만들 때 이미 내용을 기록해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.

CD에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CD-R과 CD-RW가 필요

CD-R CD에 기록하는 장치로 데이터의 백업이나 조정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
CD-RW 데이터를 기록하고 지운 뒤에도 다시 반복해서 기록할 때 사용

    ④ DVD[Digital Video Disc]

화질과 음질이 뛰어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 매체

    → CD-ROM과 달리 양면에 모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음

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함

4.7~17GB의 대용량 데이터를 기록 가능 (CD-ROM과 동일한 크기)

선명한 화질과 영화관 수준의 입체 음향 구현 가능

    ⑤ Blue-ray Disc

고선명[HD]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만든 광 기록 방식의 저장 매체

405nm 파장의 청자색 레이저를 이용하며 트랙의 폭이 가장 좁음

→ CD, DVD에 비해 훨씬 짧은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

디스크 지름은 CD-ROM과 동일

DVD에 비해 약 10배 이상의 데이터[단층 25GB, 복층 50GB]를 저장할 수 있음

 

 

 

 

 

728x90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